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

겨울 눈꽃 산행 중 아이폰 배터리 유지방법 안녕하세요 스텐즈입니다. 이번 겨울 생에 첫 눈꽃 산행을 갔었는데요. 아이폰 배터리가 너무 빨리 소모되어 놀랐습니다. 눈꽃의 멋진 모습을들 사진으로 다 남길 수 없게 되어 너무 아쉬웠습니다. 그 상황에서도 배터리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저와 같은 상황이 생기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추운 곳에서 배터리를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이폰 배터리 소모 이해하기 아이폰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애플 공식 사이트에서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성능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0℃에서 20 ℃ 사이의 온도는 배터리가 가장 이상적으로 작동하는 범위입니다. 하지만 이 온도를 벗어나면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2023. 12. 26.
2023 스타벅스 크리스마스 케이크 사전예약 11월 29일 부터 스타벅스 크리스마스 케이크 사전 예약 시작이 시작되었습니다. 예약 일정은 11.29(수) 부터 12.14(목) 까지 입니다. 한정수량의 케이크를 사전 예약으로 미리 선점 해보세요. 그럼 어떤 케익이 2023년을 장식 했는지 알아봅시다. 이번에는 총 7종의 케이크가 준비되었습니다. 1. 홀리데이 캐슬 케이크 고소한 마스카포네 크림 안에 초코 시트와 밀크 초코무스, 카라멜 무스로 달콤함을 더하고 크리스마스 초콜릿으로 장식한 2단 케이크입니다. 가격 65,000원 2. 딸기 듬뿍 마스카포네 케이크 신선한 생딸기와 진한 마스카포네 치즈 크림의 조화가 어우러진 케이크 입니다. 가격 54,000원 3. 슈크림 트리 바움쿠헨 한 겹 한겹 정성스럽게 구운 바움쿠헨 안에 바닐라빈을 넣은 슈크림과 부드러운 케이크 시트를 .. 2023. 11. 29.
차체의 진동에 관한 정리 1. 스프링 상부 질량의 진동 (1) 상하 진동(bouncing) - 상하진동은 축방향과 평행운동을 하는 공진동 즉 Z 축 방향으로 편행운동을 하는 고유진동이다. Z 축 상하방향으로 차체가 충격을 받으면 고유 진동 주기와 주행 중 노면에서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기가 일치하면서 공진현상이 발생되며 진폭이 크게 된다. 자동차의 상하진동은 진동수가 분당 120사이클을 넘으면 승차감이 저하되고, 45사이클 이하에서는 멀미를 느끼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진동수가 분당 80~120 정도가 되게 스프링을 정하고 있다. (2) 피칭(pitching) - 피칭은 Y축을 중심으로 하여 차체가 세로방향으로 진동을 하는 고유진동이다. 자동차가 노면상의 돌출부를 통과할 때 먼저 앞바퀴에 상하진동이 오고, 뒷바퀴는 축간거리만큼.. 2023. 11. 2.
열역학 제 1법칙의 응용 열역학에서는 특정한 계를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통해서 열역학 제1법칙에 대한 이해와 실제 응용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절에서는 열역학 제1법칙을 응용하여 단열, 등온과정 등 여러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단열과정은 계를 외부에서 열적으로 완전히 단열시키거나 또는 단열과정이 충분히 빨리 일어나서 계로 유입되는 열의 출입이 무시되는 경우이다. 실제 공기는 열의 전달이 매우 적은 단열체이므로 공기 일부가 상승하면 압력 강하에 따라 부피가 팽창한다. 이 과정 중에 주위 공기와의 열전달은 무시할 수 있으므로 실제 단열 팽창과정으로 다룰 수 있다. 단열과정 중에는 외부의 열전달이 없으므로 Q=0이고,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여 U=Q-W=-W이다. 계가 외부에 일을 하면 U 2023. 7. 13.
상전이와 숨은 열 물체와 주변 사이에 에너지 교환이 일어날 때, 일반적으로 물체의 온도가 변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에너지 교환이 있더라도 온도가 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물질의 물리적 성질이 한 상에서 다른 상으로 변화하는 상전이가 일어날 때 생기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상전이의 대표적인 예는 물의 상태 변화로써 일상생활에서 쉽게 얼음이 물로 변하거나, 물이 수증기로 변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처럼 기본적인 상으로는 고체와 액체 그리고 기체상태가 있으며 각 상태들은 물리적인 성질이 서로 다르다. 고체의 경우는 각 원자들의 결합이 강력하여 팽창이나 진동에 의한 다소간의 위치 변동을 제외하면 원자들의 위치가 강하게 제한되어 있으며, 액체의 경우는 고체보다는 원자들의 결합이 느슨하여 전체 부피가 변하지 않는 .. 2023. 7. 12.
열 및 열역학 제1 법칙 17세기까지 당시의 과학자들은 열이란 하나의 입자와 같아서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하였을 때,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열의 알갱이가 이동하는 것이라 믿었다. 열입자 보존 원리에 입각한 이러한 열입자 이론은 일반적인 열전달 현상은 그럴듯하게 잘 설명할 수 있었지만, 마찰에 의해서 열이 계속 생성된다는 사실이나 어느 곳에서도 열이 감소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설명할 수 없었다. 열입자가 보존될 수 없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벤자민 톰슨이었다. 그는 군수공장에서 대포에 구멍을 뚫는 일을 감독하던 중 드릴과 금속의 마찰에 의해 계속 열이 생겨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열입자란 것은 마찰만으로 계속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열입자 보존 이론은 결국 잘못된 것이고, 열이란 것이 보존되는 것이 .. 2023. 7. 11.
물의 팽창 0C와 4C사이에서, 물은 온도가 증가할 때 부피가 줄어들고(즉, 이 범위에서 부피팽창 계수는 음수이다.), 4C 이상에서는 가열되면 팽창한다. 따라서 물은 4C에서 가장 큰 밀도를 가진다. 물은 얼 때에도 팽창하는데 냉장고의 냉동실 얼음들이 가운데가 볼록하게 얼어 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대부분의 물질은 얼면 수축한다. 이러한 물의 특성은 호수의 식물이나 동물의 생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호수의 물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언다. 온도가 4C 이상일 때는 위의 차가운 물이 밀도가 크기 때문에 아래로 내려오지만, 온도가 4C보다 낮아지기 시작하면 표면의 물은 더 차가워도 아래의 덜 차가운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표면의 차가운 물은 더 이상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위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 2023. 7. 10.
화씨 온도 미국에서는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화씨온도눈금이 널리 쓰인다. 이 눈금에서는 물의 어는점은 32F, 물의 끓는점은 212F로 정한다. 섭씨온도눈금에서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의 간격을 100 등분한 것과 달리, 화씨온도눈금에서는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의 간격을 180 등분한다. 따라서 화씨 1 온도변화는 섭씨 1 온도변화의 5/9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정된 온도계는 아주 정밀한 측정이 필요할 때 문제점이 생긴다. 예로서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으로 조정된 알코올 온도계는 오직 조정점에서만 수은 온도계와 일치할 수 있다. 왜냐면 수은과 알코올은 다른 열팽창 특성을 가지므로 어떤 특별한 중간 온도에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측정 온도가 조정점으로부터 먼 영역일수록 서로 다른 형태의 온도계.. 2023. 7. 7.